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주식투자] PER(주가수익비율) 정의 및 사용법

by 랑웅 2021. 4. 5.
반응형

PER(Price Earning Ratio)이란 한국말로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가격과 수익을 비교한 지표인데 price(가격)이라는 것은 주가이고 Earning(수익,수입,소득)은 순이익을 나타냅니다. 

구하는 공식은

PER= 주가/주당순이익= 주가*주식수/주당순이익*주식수=시가총액/당기순이익

주가에 비해서 주당순이익이 얼마인지를 비교하는 것인데 낮으면 낮을수록 좋습니다. 주가가 10,000원인데 주당 순이익이 10,000원이라면 PER이 1이라는 겁니다. 

보통 코스피전체의 PER은 10~15사이 정도가 보통이며 최근기사에는 PER이 14배정도라서 기대수익률이 7%정도라고 하네요. 기대수익률은 PER의 역을 구하면 얻어 집니다. 1/14*100=7%입니다.

PER을 다른게 표현하면 내가 지금 PER14에 투자를 한다면 순이익의 증감이 없다고 가정할 때 투자한 금액을 순이익으로 뽑아내려면 14년이걸린다가 되겠습니다.

그러면 PER이 낮은 주식에만 투자를 하면 돈을 많이 벌수 있겠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주식이라는게 순이익만 가지고 움직이는 것도 아니고 낮은 PER에 다른의미들이 숨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아래의 사항을 염두에 두고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1. 당기순이익이 1회성이익인지 확인을 해야합니다.

영업이익은 회사가 영업을 통해서 얻는 이익이기 때문에 매년 일정하게 성장하면서 예측가능하게 나오는게 정상인데 당기순이익에는 1회성 이익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ER은 당기순이익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낮은 PER이 나온 주식은 1회성 이익때문에 낮게 나온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당기순이익대신 영업이익을 넣어서 PER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1회성 이익에는 투자보유지분 매각, 토지 매각, 상표권 매각, 세금 환급, 과태료 환급 등이 있는데 이런 것들은 매년 나올수 있는 성질의 이익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가능성을 생각해서 이익에서 적절히 가감해서 PER을 재산정하는 것이 맞습니다.

 

  2. 경기변동 기업인지 확인해야합니다.

경기변동기업인 경우에는 업황이 좋을 때는 순이익이 많이 나왔다가 업황이 좋지 않으면 순이익이 작게 나왔다가 합니다. 업황이 좋을때는 PER이 낮게 나오는데 이럴때 낮은 PER이네 "몇년만 투자하면 투자원금을 다 찾을 수 있다는 말이자나 지금이야" 하고 투자하자 했다가 경기가 꺾이거나 업황이 변동이 되면 순이익이 내리면서 PER은 고 PER이 됩니다. 그래서 경기변동형 기업은 고 PER에 투자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이것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결론을 내려야 합니다. 경기 변동이 아니라 그 업종자체가 산업구조변동으로 없어 지는 것이라면 회복 못할 수도 있습니다. 

 

  3. PER이 수년 동안 낮게 유지된다면 그 이유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당기순이익도 1회성이 아니고 경기변동이 심하지도 않은데 PER이 수년째 낮게 유지가 된다면 아마도 그 기업은 인기가 없어서 그런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시장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죠, 이런 종목에서 대박이 나오기도 합니다. 시장의 관심이 없던 산업이 어떤 트리거로 인해서 시장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 저 PER이 해소되는 과정에서 몇배씩 오르기도 합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지금은 시장에서 관심을 받지 못하지만 내가 이 주식에 투자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받을 때 까지 보유할 수 있는 가를 먼저 생각해봐야 합니다. 종목과 투자방식이 자신에게 맞지 않다면 금방 지쳐서 매도하고 다른 주식을 기웃거리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기 쉽습니다.

PER은 주식투자하면 상식적인 것이므로 주식시장에 적응이 되면 종목을 볼때 자연스레 찾아보는 지표가 될겁니다.

반응형

댓글